본문 바로가기
보험이야기

실손의료보험 세대별 정리

by samseopmom 2025. 4. 29.

실손의료보험, 정말 많이 들어보셨죠?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8명이 가입했을 정도로 필수보험이 되었지만,
그 안에도 '세대'가 있다는 걸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실손의료보험의 변화 과정을 1세대부터 4세대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
지금 내 보험은 어떤 세대에 해당하는지, 또 앞으로 어떤 선택이 필요한지 확인해보세요!

       

실손의료보험 세대별 정리

시기 구분1세대 (구실손)
~ 2009.09
 2세대 (표준화 실손)
2009.10 ~ 2017.03 
3세대 (착한 실손)
2017.04 ~ 2021.06
4세대 (현재 실손)
2021.07 ~
보험기간 80세, 100세 만기 100세 만기 15년 재가입
(2세대 13.01~이후계약)
5년 재가입
갱신주기 5년 또는 3년 3년(2013.03 이후 계약은 3년 갱신) 1년 갱신 1년 갱신
입원 자기부담금 없음 또는 급여 10% 급여/비급여 각 10~20% (선택형 가능) 급여 10% / 비급여 20% /
3대비급여 30%
급여 20%, 비급여 30%, 3대비급여 30%
통원 의료비 공제 없음 또는 5천원 공제 의원 1만 원, 병원 1.5만 원, 상급종합병원 2만 원 공제 의원 1만 원, 병원 1.5만 원, 상급종합병원 2만 원 공제 (보상대상 의료비 20% 부담) 동일 (보상대상 의료비 30% 중 큰 금액 공제)
처방전 공제 없음 또는 8천 원 공제 8천 원 공제 (보상대상 의료비 20% 중 큰 금액) 8천 원 공제 (보상대상 의료비 20% 중 큰 금액) 8천 원 공제 (보상대상 의료비 30% 중 큰 금액)

 

간단 요약

  • 1세대 구실손: 자기부담금 거의 없음. 지금은 가입 불가.
  • 2세대 표준화 실손: 표준화된 약관 등장, 입통원 보장구조 명확해짐.
  • 3세대 착한 실손: 의료비 절감 유도(비급여 부담 증가), 보험료 상대적으로 저렴.
  • 4세대 현재 실손: 급여/비급여/3대비급여 분리 보장, 비급여 진료 시 자기부담율 높음.

참고사항

  • "3대 비급여"란?
    • 도수치료, 비급여 주사, 비급여 MRI 촬영을 의미합니다.
  • 갱신주기가 짧을수록(1년 갱신) 보험료 인상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현재는 4세대 실손만 신규 가입 가능합니다.

 

실손보험은 내 건강뿐 아니라 지출까지 책임지는 중요한 보험입니다.
하지만 세대마다 구조와 보장 방식이 달라
"나는 몇 세대인지?" 꼭 확인해보시고,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보완해나가시는 걸 추천드려요.

궁금한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이나 상담 요청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