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레캠비(Leqembi) 치매 치료제란?
**레캠비(Leqembi)**는 **에자이(Eisai)와 바이오젠(Biogen)**이 공동 개발한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로,
2023년 미국 FDA에서 **완전 승인(full approval)**을 받은 약물입니다.
💡 주요 특징
- 타우 단백질이 아닌 아밀로이드 베타 제거
- 알츠하이머 치매는 뇌에 ‘아밀로이드 베타’라는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쌓이면서 뇌세포를 파괴하는 것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어요.
- 레캠비는 이 아밀로이드 베타를 직접 제거하는 항체 치료제입니다.
- 질병 진행 억제 효과
- 레캠비는 치매를 완치하는 약은 아니지만, 질병의 진행 속도를 늦춰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 임상시험에서 인지기능 저하 속도를 약 27% 늦추는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
- 초기 환자 대상
- 이 약은 경증 또는 초기 단계의 알츠하이머 환자에게만 효과가 입증되었고, 해당 환자군에게만 권장됩니다.
💉 투약 방식
- 정맥 주사(IV) 형태로 투여
- 일반적으로 2주에 한 번 병원을 방문해 주사를 맞는 방식
- 약물 투여 전에는 뇌 MRI 등을 통해 부작용 가능성(출혈, 부종 등)을 체크해야 해요.
⚠️ 주의할 점
- 비용이 고가입니다. (미국 기준, 연간 수천만 원대)
- 국내에서는 아직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거나 제한적인 상황이에요.
- 뇌출혈, 뇌부종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었기 때문에, 정기적인 MRI 검사 및 전문가 상담이 필수입니다.
📝 요약 정리
항목내용
제품명 | 레캠비 (Leqembi) |
개발사 | 에자이(Eisai) + 바이오젠(Biogen) |
기전 | 아밀로이드 베타 제거 |
대상 | 초기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
효과 | 질병 진행 억제 (인지 저하 속도 약 27% 감소) |
부작용 | 뇌부종, 뇌출혈 등 |
투여 | 2주 1회 정맥주사 |
승인현황 | 미국 FDA 완전 승인 (2023년) |
보험적용 | 미국 일부 보험 적용 / 한국은 도입 및 평가 단계 |
치매 치료에 있어 보험이 중요한 이유
- 레캠비 등 최신 치료제는 고가
→ 연 2,000만 원 이상 비용 발생 가능 (비급여일 경우) - 장기적인 돌봄·간병 필요
→ 병원 치료뿐 아니라 생활 지원과 요양 돌봄까지 장기비용이 들어감 - 가족 구성원의 경제적 부담 증가
→ 돌봄 공백으로 인한 생산 활동 중단, 소득 손실 가능성
👉 그래서 치매 관련 민간보험은 치료비, 간병비, 생활비를 보완하는 역할을 합니다.
🧾 치매 관련 민간보험의 주요 형태
① 치매진단보험
- 경도/중등도/중증 치매 진단 시 보험금 지급
- 레캠비가 적용되는 **초기 치매(경증)**도 진단금 대상 가능
- 일부 상품은 MRI, 인지검사 결과로 지급 요건 충족
② 간병보험 (치매 간병 특화형)
- 치매로 장기적인 도움 필요할 때 매월 일정액 지급 (생활비 보조)
- 예: 중등도 이상 치매 시 매달 100만 원씩 10년간 지급
③ 후유장해 보험 (인지기능 장해 포함형)
- 치매로 인해 인지기능 저하 또는 후유장해가 생길 경우 보험금 지급
- 노인성 질환 후 장해 연계 보장
🤝 공적 제도 + 민간보험 연계 전략
항목공적 장기요양보험민간 치매보험
목적 | 돌봄 서비스 지원 (요양보호사, 시설 이용 등) | 치료비 + 생활비 + 간병비 보완 |
지급 형태 | 서비스 제공 (현물) | 보험금 지급 (현금) |
적용 대상 | 장기요양등급 1~5등급 또는 치매 인정자 | 경증~중증 치매 진단자 (보험 가입 조건 충족 시) |
보장 수준 | 제한된 한도 내 서비스 | 진단 즉시 수백~수천만 원 일시금 또는 매달 지급 |
'보험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신보험 상속세 이야기 (0) | 2025.03.27 |
---|---|
자동차 특약))) 자기신체사고 VS 자기상해특약 (1) | 2025.03.26 |
장기요양보험 이해하기 (5) | 2025.03.25 |
치매 환자 수, 매년 증가 중! (1) | 2025.03.25 |
**해상 뇌심혈관수술 약관 설명(2025.02.13)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