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사는 세상

📢 주식에서 '행동주의'란?

by samseopmom 2025. 4. 2.
반응형

📰 기사 제목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0140291

행동주의 뜨면 호재?… ‘묻지마 투자’했다 큰코 다친다

 

올 주주제안 받은 기업 39곳
안건 가결된 경우는 10곳 그쳐
행동주의, 일종의 테마로 변질
아미코젠 25% 뛰었다가 20% 뚝
전문가 “단타성 매매 자제해야”

 

국내 상장사들의 정기 주주총회가 사실상 마무리된 가운데 행동주의 펀드와 소액주주의 주주제안이 올 상반기에는 소수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주주제안이 호재로 부상했다가 관심에서 밀려나면서 차익거래 급락하는 사례도 적지 않고 있다.

 

📌 줄어든 주총 주주제안 가결 건수
올해 정기주총에선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정기 주총에서 주주제안이 이뤄진 기업은 총 39곳으로 지난해(31곳)보다 소폭 늘었다.
하지만 이 중 안건이 실제로 통과된 기업은 10곳뿐.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중 25곳이 제안 받았으나, 안건 가결은 7곳뿐이었다.
나머지 14곳은 부결되거나 자진철회됐다.

 

행동주의 펀드 등의 제안 안건이 가결되는 일은 여전히 드문데도, 관련 기업의 주가는 주총 전후로 급등락을 반복하며 단타 매매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아미코젠, 행동주의 이슈 후 주가 급등락
지난달 말 사모펀드 스틱인베스트먼트가 아미코젠 지분 5.26%를 취득하고
→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행동주의 활동”을 예고하자
→ 주가는 26.58% 급등.
하지만 이후엔 하루 8.7% 급락하며 ‘반락세’.

트러스톤 자산운용은 “행동주의 펀드는 대부분 장기적 가치 제고보다는
단기 이슈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다”고 지적.


📊 행동주의 펀드가 집중한 종목들(단위: %)

펀드                                        국적                   지분 매입 회사

얼라인파트너스 한국 덴티움(7.17), 가비아(8.04), 스틱인베스트먼트(6.64)
미래캐피털 미국 유수홀딩스(13.19), 아미코젠(13.2), 스틱인베스트먼트(10.78)
달튼인베스트먼트 미국 콜마홀딩스(5.09)
트러스톤자산운용 한국 티와이홀딩스(6.10%)
머스트자산운용 한국 영풍(3.5%)
플래시라이트캐피탈 싱가포르 KT&G (0.4% 추정)

📉 단타매매 주의 필요
“행동주의 펀드가 주주권을 요구하면 주가가 급등하는 현상은
흔한 일이지만, 실제로 안건이 통과되지 못하거나 실익이 없을 경우
→ 되레 주가가 하락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 투자자들 사이에서 ‘묻지마 추종 매수’는 위험하다는 경고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음.


📌 전문가 조언
김형렬 유진투자증권 CIO:
“행동주의 펀드들이 단기적인 주가 띄우기보다
경영 참여, 배당 확대 등 실질적 가치 제고에 집중해야 할 시점”

이시은 기자

 

묻지마 투자보다 중요한 행동주의의 진짜 의미

뉴스나 주식 커뮤니티를 보다 보면 ‘행동주의 펀드’, ‘주주제안’, ‘경영참여’ 같은 단어가 심심찮게 등장하죠.
그런데 정작 행동주의가 뭔지, 왜 이슈가 되는지 정확히 아는 분들은 의외로 적더라고요.

오늘은 ‘행동주의’가 무엇인지, 주식시장에서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그리고 투자자로서 우리는 이걸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친절하고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 행동주의란? (Activist Investing)

한마디로 말하면:

**“주주가 단순히 투자만 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회사 경영에 영향을 미치려는 움직임”**입니다.

🧾 예전 주주는 이랬어요…

과거 주식투자는 단순했습니다.

“이 회사 좋아 보이네? 주가 오를 것 같으니 사두자!”
주가가 오르면 이익 보고 팔고 끝.

하지만 요즘은 좀 다릅니다.

🚨 요즘 주주는 다릅니다

이제 일부 투자자들은 이렇게 생각합니다:

“이 회사 실적 좋은데 배당은 왜 이래?”
“이사회 구조가 비효율적인 것 같아.”
“경영진이 주주가치를 무시하고 있어!”

→ 그래서 주총에 나가고,
→ 경영진에게 배당 확대, 지배구조 개선, 자산 매각 등을 요구하기 시작했어요.
→ 이런 흐름이 바로 **행동주의 투자(Activist Investing)**입니다.

🎯 행동주의 투자자의 대표 요구사항

  • 배당 늘려라 💸
  • 자사주 소각해라 🔥
  • 비핵심 자산 팔아서 수익 내라 🏢
  • 이사회에 독립적인 인사를 선임해라 👥
  • 경영진 보수 깎아라! ⚖️

🏦 대표적인 행동주의 투자자(국내외)


칼 아이칸 (Carl Icahn) 애플·넷플릭스·델 등 기업에 적극 개입
엘리엇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반대
얼라인파트너스 KT&G 배당 확대, 지배구조 개편 요구
미래캐피탈·달튼 등 아미코젠, 스틱 등 중소형주 타깃

📈 행동주의 = 주가 상승의 신호?

일부 투자자들은 행동주의 이슈가 나오면 단기 테마주처럼 반응해요.
최근 아미코젠, 유수홀딩스, KT&G 같은 종목들이 대표적이죠.

하지만 문제는…

"내용 모르면 묻지마 투자되고,
결국 반락(폭락)의 주인공이 될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주주제안이 거절되거나
경영진이 바뀌지 않으면
주가는 급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투자자라면 이렇게 접근하세요!

  1. 행동주의 이슈가 나왔다고 무조건 사지 말 것!
  2. 누가 투자했는지, 어떤 제안을 했는지 확인
  3. 과거 행동주의 성과가 어떤지 파악
  4. 기업의 본질가치와 펀더멘털이 중요한 기준!
  5. 장기적으로 기업 개선 가능성이 있는지 냉정하게 분석

 

🗨️ 마무리하며

행동주의는 주주가 단순한 투자자가 아니라,
기업의 공동주인으로서 권리를 행사하는 당연한 모습입니다.

하지만 요즘엔 이를 단기 테마처럼 활용하려는 흐름이 있어 우려스럽기도 해요.

“남들이 산다니까 나도 산다” → 가장 위험한 투자 방식입니다.

이제는 정보를 알고, 판단하는 힘이 중요한 시대입니다.
‘행동주의’라는 말이 들리면 일단 검색하고, 분석하는 습관부터!

 

행동주의 투자 자체는 분명히 긍정적인 흐름이지만,
그게 언제나 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건 아닙니다.

📌 기업의 변화 가능성,
📌 실질적인 주주가치 개선 가능성
이런 부분을 직접 보고 판단하는 눈이 필요해요.

묻지마 투자가 아닌, 생각 있는 투자를 하시길 바랍니다!